본문 바로가기
DevOps/Network

[네트워크] CIDR 주소 이해

by 뽀뽀이v 2023. 5. 7.

1) 예시

192.168.10.0/24 

위의 주소는 4 Octet(옥텟)으로 구성되어 있다. 위의 주소를 8비트로 변경하면 아래와 같다.

여기서 숫자 24는 24번째 이후의 모든 숫자 기준으로 최솟값과 최댓값이 IP 할당 범위라고 생각하면 된다.

(즉 4Octet 의 최솟값과 최댓값의 사이가 할당 범위이다.)

11000000(1 Octet). 10101000(2 Octet). 00001010(3 Octet). 00000000 (~11111111) (4 Octet)

위의 범위를 10진수로 다시 변경하면 192.168.10.0~192.168.10.255 IP가 할당 주소 범위이다.

 

2) 예시

192.168.10.0/23

똑같이 위의 주소를 8비트로 변경하면 아래와 같다.

여기서는 숫자 23이다. 위의 배운 대로라면 23번째 이후이다. 애매하게 3 Octet(옥텟)이 포함된다.

걱정하지 말고 포함되는 Octet의 모든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해서 반영하면 된다. 

 

3 Octet(옥텟) 최소/최댓값

4 Octec(옥텟) 최소/최댓값

11000000.10101000.00001010 (~00001011) (3 Octet). 00000000 (~11111111) (4 Octet)

위의 범위를 10진수로 다시 변경하면 192.168.10.0~192.168.11.255 IP가 할당 주소 범위이다.

하지만 위의 방법이 어렵거나 귀찮다면 CIDR 계산기를 이용하면 편리한다.

CIDR 계산기

'DevOps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네트워크] Jenkins CI/CD 자동화  (0) 2023.05.21
[네트워크] VPC 기본 개념  (0) 2023.05.08
[Etc] 네이밍 규칙(camel, pascal, snake, kebab)  (0) 2023.05.07

댓글